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품고 있는
역사와 문화가 있는 도시 수원시
수원문화원
수원설화
상광교 느티나무
광교산으로 들어간 부처님 수원에서 신목(神木)으로 위하는 마을의 수호신격의 나무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 느티나무를 신목으로 정하여 섬기고 있다. 나무의 크기에서도 ‘참, 잘 생겼다!’란 찬탄이 절로 나지만 그 외양 또한 사연 없는 나무들과는 격이 다른 듯이 보여진다.
그 대표격이 영통 엘지주유소 앞의 나무일 것이다. 또한 청명고등학교 앞에 있는 나무도 그보단 작은 나무지만 여전히 그 아름다움에 경도된다. 천천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나무도 그렇다.
늘 광교산을 찾으면서 아름답다 여기던 나무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지나다 보면 그저 ‘근사한데!’라는 정도로 지나칠만한 나무이지만 여기에 전하는 이야기와 그 의미를 생각해 보면 예사나무가 아니다. 바로 광교산으로 들어가 부처가 되었거나, 부처님의 화신이 광교산을 다녀간 것을 의미하는 나무인 것이다.
먼저 원효법사(元曉法師)의 전하는 이야기를 통해 그 가능성을 살피기로 한다. 의상법사(義湘法師)가 낙산사(洛山寺)를 창건한 뒤, 원효법사가 뒤를 이어 예(禮)하려 하였다.
처음에 남쪽 교외(郊外)에 이르니 논 가운데 흰옷을 입은 여인이 벼를 베고 있었다. 법사가 희롱삼아 그 벼를 달라고 청하니, 여인은 벼가 잘 영글지 않았다고 대답한다. 또 가다가 다리 밑을 이르니 한 여인이 빨래를 하고 있다. 물을 달라고 청하자 여인은 그 더러운 물을 떠서 바친다. 법사는 그 물을 엎질러 버리고 다시 냇물을 떠서 마셨다.
이때 들 가운데 있는 소나무 위에서 파랑새 한 마리가 그를 불러 말한다. "제호스님은 그치십시오" 그리고 는 갑자기 숨어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그 소나무 밑에는 신 한짝이 벗겨져 있었다. 법사가 절에 이르자 관음보살상의 잘 밑에 또 전에 보던 신 한 짝이 벗겨져 있으므로 그제야 전에 만난 성녀(聖女)가 관음의 진신(眞身)임을 알았다.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 소나무를 관음송이라 했다. ... [하략]
흔히 설화(說話)의 세계에서 그 존재의 신이(神異)함을 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신발이 등장한다. 그것도 불교와 관련된 설화에서는 부처님이 승려나 일반 중생에게 존재를 알리고 깨달음을 주기 위해 등장할 때에 이렇게 신발로써 표를 한다.
여하튼 상광교동122번지. 잘 생긴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있다. 이 나무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옛날에는 광교산에 89개의 절이 있었는데 어떤 사람이 절을 돌기 위해 이 곳에 신발을 벗어놓고 산으로 들어갔다. 그러자 비가 많이 내려 신발이 다썩어 느티나무 뿌리가 내렸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느티나무는 점점 크게 자라 어른의 팔로 몇 아름이 되었다. 워낙 거목이어서 누군가가 나무 속에 불을 지르면 며칠 동안이나 꺼지지 않고 연기가 났다고 한다.
언젠가 이 느티나무를 팔려고 나무를 베어냈는데 베는 도중에 사람이 죽기고 했다고 한다. 지금의 느티나무는 베어낸 느티나무의 씨가 떨어져 자란 것이다. 상광교 느티나무에 전하는 이러한 이야기는 원효법사의 이야기와 비교하여 볼 때 그 의미가 보다 분명하여 지리라 본다. 과연 그 사람, 신발을 벗고 절을 돌아보겠다 한 그 사람은 누구인가? 왜 절을 돌아보는데 맨발로 산을 오르고 절을 돌아보겠다 했는가? 두 편의 이야기를 비교하고 보니 상광교 느티나무아래 신을 벗어 놓은 것은 부처인 것이다.
89개의 절을 돌아보면서 부처님의 뜻을 전하고자 한 것이다. 그렇기에 신발이 썩어 느티나무가 되었고, 그 나무를 베려던 사람은 목숨을 잃었다는 이야기가 아니겠는가? 광교산을 오르며 무심히 보던 그 잘생긴 느티나무는 부처님이 광교산과 함께 하시며 그 곳 광교산에 계시다는 이야기가 아니겠는가?
그러고 보니 광교산을 향하는 발걸음이 한결 엄숙해지고 경건하여 진다. 비단 이야기를 통해 전하는 광교산의 신성함 때문이 아니라 산을 찾는 이들의 한 걸음 한 걸음이 즐겁고 경건함이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치지 아니할 때 더욱 아름다움 산행이 되리라 생각한다.